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잔티움 제국 최후의 날


터키를 다녀온 지 벌써 4년이나 지났습니다. 아나톨리아반도의 서쪽 절반을 도는 일정이었는데, 마지막 이틀은 이스탄불을 구경했습니다. 이스탄불은 비잔틴제국 시절에는 콘스탄티노폴리스였습니다. 유일한 천년제국 비잔틴도 결국은 문을 내리고 말았습니다. 난공불락의 요새라 믿었던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오스만제국군대의 공세를 버텨내지 못했던 것입니다. 거대한 힘을 가진 두 제국이 접경을 하게 되면 충돌은 필연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부자는 망해도 3대는 간다고 했던가요? 아무리 힘이 빠져가는 비잔틴제국이라고 해도 떠오르는 오스만제국이 쉽게 어떻게 해볼 수는 없었을 것 같습니다. 잘 되겠지 하는 막연한 생각에 손을 놓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불과 기천의 군사로 수십만 대군을 막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 점입니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만 해도 1453년 5월 29일 오스만군대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입성할 수 있었던 것은 메흐메트2세가 오스만 해군의 함정을 갈라타의 야트막한 언덕을 넘어 마르마라해에서 금각만으로 진입시킨 기상천외한 작전 덕분이었다고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오스만제국의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은 짧은 시간에 만들어진 전쟁이 아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슬람세력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가지려는 염원은 이슬람교 자체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다고 합니다. 629년 비잔틴제국의 28대 황제 헤라클레이토스가 예루살렘의 도보순례에 나섰는데, 그 과정에서 페르시아와의 전투를 치러야 했다고 합니다. 그 무렵 헤라클레이토스는 편지를 한통 받았는데 바로 이슬람교의 창시자 무함마드가 보낸 것이었습니다. 알라에게 무릎을 꿇기를 청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이슬람 교리를 바탕으로 아라비아의 사막에 흩어져 있는 부족들을 통합한 이슬람은 놀라운 속도로 페르시아를 복속시키고 사방으로 영역을 확장시켜나갔습니다. 당연히 비잔틴제국과도 충돌이 불가피하게 되었습니다. 669년에는 우마이야왕조의 무아위야1세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대규모 상륙부대를 파병한 것입니다. 이렇게 시작된 비잔틴제국과 아랍세력의 충돌은 40여년에 걸쳐 이어졌지만 아랍세력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함락시킬 수는 없었습니다. 역사가들은 “하느님이 로마 제국을 보호했다”라고 주장했다고 합니다. 우마이야왕조에 이어 셀주크 튀르크 역시 비잔틴제국에 도전장을 내밀었지만,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함락하기에는 아직 역부족이었던 것입니다. 결국 800년이 넘는 오랜 세월의 흐름 속에서 비잔틴제국이 속으로 곪아 들어간 뒤에서야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이슬람의 강역이 되고 말았습니다. <비잔티움 제국 최후의 날>의 저자 로저 크롤리는 작가이자 역사가로 이스탄불에 살았던 적이 있고, 아나톨리아를 여행하는 등 지중해 연안지역에 관심이 크다고 합니다. 이 책은 그의 대표작이라고 할 만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이슬람교가 시작된 7세기부터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이스탄불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요약해냈는데, 옛일은 큰 묶음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이슬람에 넘어가는 마지막 순간은 시간을 잘게 잘라서 긴박한 순간을 생생하게 전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순간까지 비잔틴제국을 영도하던 콘스탄티노스 11세와 패기의 오스만제국을 영도하던 메흐메트2세의 건곤일척의 대회전은 젊음의 패기가 마지막 승자가 되었습니다. 읽어가다 보면 비잔틴제국의 멸망은 예정되어 있었던 일이라는 생각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로마제국과 비잔틴제국이 가톨릭과 정교로 각각 나뉘어 갈등을 빚는 구조 속에서 위기의 상황을 외면했던 것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는 것입니다. 쇠약해진 비잔틴제국에게 지원은커녕 가톨릭으로 통합해야 한다는 논리를 내밀었던 것입니다. 때로는 종교가 맹목적으로 폭주하는 경우가 있는데, 바로 그때 그랬던 모양입니다. 오스만이 문 앞에 와있는 순간에도 종교갈등을 접어두고 힘을 모을 생각을 왜 하지 못했던 것일까요? 오늘날의 살아가는 우리도 생각해볼 일입니다.
중세의 변곡점이 된 1453년 콘스탄티노플의 함락!
비잔티움 제국의 멸망을 둘러싼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소설적 세밀함과 통찰력 있는 해석으로 박진감 넘치게 그려내다

1453년 봄까지 비잔티움 제국 1,123년 동안에 그 수도인 콘스탄티노플은 스물세 번 정도 포위당했으나, 단 한번 함락을 당했다. 아랍인도, 불가르족도 아닌, 제4차 십자군의 기독교 기사들에 의해서였다. 그 이후 육지 쪽 성벽은 돌파당한 경우가 없었고, 5세기에 지진으로 무너진 적이 있었다. 그 외에는 성벽이 굳건하게 유지됐고, 1453년 4월 6일 오스만 제국의 술탄 메흐메트 2세 군대가 콘스탄티노플 바깥에 말을 세웠을 때에도 콘스탄티노플 방어자들은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라는 합리적인 희망을 품었다. 이 순간 즉 포위전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콘스탄티노플 몰락 이후에 일어난 일들을 이 책에서는 다룬다. 미신과 신앙에 사로잡힌 중세인의 모습과 당시의 동방정교회와 가톨릭의 통합 문제, 상업적 이해에 의해 외교 문제를 풀어가는 베네치아 원로원의 모습 등이 상세하게 그려진다. 그리고 ‘그리스의 불’(물로 잘 꺼지지 않아 비잔티움 해군이 해전에 주요 무기로 사용했던 화기)이라는 비잔티움 제국의 화기에 맞서 번번이 패전했던 이슬람 세력이 해양에서의 장벽을 어떻게 이겨내고 난공불락인 콘스탄티노플의 테오도시우스 삼중 성벽을 무너뜨릴 수 있었는지를 무기 발달이라는 측면에서 조명하고 있다. 당시 중세인들은 미신에 사로잡혀 날씨에 대한 징조 등에 의해 사기가 크게 흔들렸었는데 이는 지구 반대편에서 일어난 대규모 화산 폭발에 원인이 있었던 것이라고 과학적으로 해명하고 있어 흥미롭다.
이슬람과 기독교 양쪽의 기록에 의거해 객관적으로 당시 상황을 접근하면서 콘스탄티노플 포위전을 세밀하면서도 박진감 넘치게 서술하고 있어 손에 땀을 쥐게 하며 콘스탄티노플 함락 당시의 전쟁터 한복판에 서 있는 듯하게 한다.


프롤로그 : 빨간 사과
불타는 바다 629∼717년
이스탄불을 꿈꾸다 1071∼1422년
술탄과 황제 1432∼1451년
목을 따다 1451년 2월∼1452년 11월
컴컴한 교회 1452년 11월∼1453년 2월
성벽과 대포 1453년 1∼2월
별처럼 수많은 1453년 3∼4월
무시무시한 종말의 광풍 1453년 4월 6∼19일
하느님이 주신 바람 1453년 4월 1∼20일
유혈의 소용돌이 1453년 4월 20∼28일
무시무시한 무기들 1453년 4월 28일∼5월 25일
예언과 징조 1453년 5월 24일∼5월 26일
이 날짜를 기억하라 1453년 5월 27∼28일
잠긴 문들 1453년 5월 29일 오전 1시 30분
한 줌의 흙 1453년 5월 29일 오전 6시
현존하는 세계적 공포 1453년∼1683년
에필로그 : 안식할 수 있는 곳

 

uruguay(우루과이) , tuberculous(결핵의) , intravascular(혈관 내의)

하루10분영어회화영어공부에서 가장 중요한건 꾸준함 인거 같아요 uruguay ( 우루과이 ) Negro2 ( R o )The capital of Uruguay is Montevideo and is an important trading and commercial center 우루과이의 수도는 몬테비데오이고 이곳은 무역과 상업의 중요한 중심지입니다But the caudillo mentality was difficult to erase from Uruguay

lpasgf.tistory.com

 

미즈 마블 VOL.2 Why 세대

하루아침에슈퍼히어로가된카말라는보수적인가족몰래활동하느라정신이없다.종교지도자에게상담을받은카말라는엄한잔소리대신스승을찾으라는조언을듣는다.제자가준비가되면스승은자연히나타날거라는말과함께.실종된아이를찾아나선울버린과함께행동하며여러가지를배운카말라는인휴먼즈의여왕메두사가보낸공간이동견록조의도움을받아아이들을동력원으로삼는앵무새머리빌런을상대한다.새내기 슈퍼 히어로의 적응기저지 시의 새 슈퍼 히어로 미즈 마블은 동경하던 히어로들이 왜 항상 팀을 이뤄서 활동하는지 이제 깨달았다. 막

huia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