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5학년 아이의 엄마로서 진학문제는 다소 먼 이야기 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특목고에 편중된 과한 관심 속에서 어쩌면 너무 멀리 가버리기 전 확인해봐야할 내용이 아닐런지.가끔 작금의 복잡난해한 진학부장은 대한 볼멘 소리를 자주 접하게 된다. 차라리 줄세우기가 편했다고...어쩌면 그건 회피성에 불과한 것은 아닌지...젊은 시절부터 입에 달고 살던 말이 떠오른다.발상의 전환....영혼없는 외침이 되지 않으려면 준비가 필요하다. 가능한 모든 패를 살피는 마음가짐이라 해두자...
EBS 다큐멘터리를 바탕으로 엮은 특성화고, 괜찮습니까? 는 EBS 교육전문기자들이 6개월 동안 전국 20여 개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의 교사와 학생 100여 명, 그리고 30여 개 기업의 인사담당자를 만나고 그 내용을 정리한 책이다.
이 책에는 다양한 특수목적고등학교 소개, 여러 기업의 인사담당자들의 이야기들, 해외 직업교육 사례, 고졸 출신 임원들의 이야기 등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전반에 걸친 다양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선취업 후진학’을 원하는 학생에게 희망과 비전을 제시하는 한편, 대입을 준비하지 않는 고3 학생들을 위해 학교와 정부의 과제도 함께 짚어본다.
1부 고졸, 괜찮습니까?
1장 성은혜, 꿈의 기업에 들어가다
‘취업 성공 12전 13기!’ 모든 일에는 이유가 있다
취업 먼저, 대학은 나중에!
20년 뒤, ‘대한민국 기술 명장’을 꿈꾸다
오대양 육대주를 누비며 도선사의 꿈을 향해 나아가다
2장 ‘고졸 취업자’ 우리가 모르는 그들만의 고민
입사 2년차, 우리는 대학을 꿈꾸다
우리가 공·대기업을 원하는 이유는?
고졸 출신 임원, 가능한가요?
2부 마이스터고 VS 특성화고
1장 마이스터고
취업률 100% 신화를 쓰다 - 수도전기공업고등학교
현장 실무 교육에 나선 마이스터고 선생님이 말한다
말 키우는 고등학생 보셨어요? - 한국경마축산고등학교
우청화 선생님께 : 우성이가 보낸 편지
우성이에게 : 우청화 선생님이 보내는 편지
마이스터고란?
2장 특성화고
관심 밖의 아이들, 주목받기 시작하다 - 이리공업고등학교
윤택이의 자기소개서
취업률·진학률에 목매지 않는 학교 - 세경고등학교
특성화고란?
3부 기업의 고민
1장 기업은 누구를 원하나?
NH농협은행 현장 면접 생중계
고졸자 채용 인사 담당자가 말하는 기업은 어떤 인재를 원하는가?
2장 강소기업, 씨앤엠로보틱스를 가다
기능 영재 준수의 취업 성공기
‘중소기업’을 선택한 이유
공부 가르치는 회사, 공부하는 직원
직원의 경쟁력이 곧 기업의 경쟁력
회사, 기능을 갖춘 인재에 주목하다
기업이 학교에 바란다
고졸 취업자 병역 대체 복무제도
중소기업 취업자 정부 지원 혜택
4부 학교가 바뀐다
1장 교육과정을 뒤엎고 취업 명문고로 서다
취업률 전쟁? 교육과정부터 바꾸다 - 서울공업고등학교
5부 특성화고, 가도 될까요?
1장 학벌 대신 능력으로 인정받는 사회를 선언하다
새 정부 교육정책 발표하던 날, 기자실 풍경
국가직무능력표준, NCS란 무엇인가
대한민국 직업교육의 역사
나승일 전 교육부 차관에게 듣는다
2장 호주의 직업교육
열여덟 살 제이슨, 용접공을 꿈꾸다
직업기술전문학교 ‘스킬테크’를 가다
호주의 자격 체계
3장 한국 직업교육의 미래와 과제
직업교육과정 개발 전문가들의 집단 인터뷰
우리들의 이야기
-전국기능대회에서 만난 사람들
TCM-Science Readers:Physical Science:Pioneers of Light and Sound
제가 본 책은 5~6 레벨입니다. 이 정도면 어른들도 보는데 무리가 없을 것 같네요. 사실 무리가 있을거 같긴 합니다. 과학이다보니 단어가 쉽진 않거든요. 저 같은 경우에는 토플을 공부하면서 배운 단어들이 꽤 나옵니다.어릴 때부터 이러한 과학 책을 미리 봐둔다면 배경지식이 충분히 쌓여 있기 때문에 어떠한 영어 시험이 됐던간에 크게 문제될 건 없을 것 같습니다. 특히나 이 책은 영어로 과학을 다룬 책이라 심도있는 과학적 지식도, 영어실력도 같이 잡을 수
gdrdfgf.tistory.com
Why? People 와이 피플 넬슨 만델라
20151022 가슴아픈 역사는 어느나라에든 있나보다.우리가 그랬던 것 처럼말이다.백인들의 인종차별로 인해 땅과 자원을 빼앗기고 노예처럼 살아가야 했던 그들은 여전히 빈민국에서 헤어나오질 못한다. 신이여 아프리카에게 축복을 달라고 소리치는 그들은 오래전 주변강대국들에게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무시당하며 살아왔다. 대항해 시대의 시작 15세기 초부터 17세기 초까지 유럽의 배들이 전 세계 바다를 돌아다니며 뱃길을 개척하고 새로운 땅을 발견하고 탐험과 무역을하
ytuhf.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