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복 선생님하면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이라는 책이 떠오른다.그리고 신영복 선생님의 책을 왜 찾아볼 생각을 안했을까란...예스24에서 코로나19로 인해 무료로 책 대여해주는 이벤트가 있었는데 그때 신영복 선생님의 글에 푹~빠지게 되었다. 선생님이 가지고 있는 배경에 대해서는 사람들의 평이 많지만 글 자체만으론 너무나 존경스러웠다. 나도 이런 글을 쓰고싶다라는 부럼을까지도...이 책은 고전에서 삶과 세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 삶에 적용하여 타인과의 관계속에서 유연하게 살아가라는 메세지를 준다.
담론
우리 시대의 스승 신영복 선생 강의의 모든 것
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는 강의 출간 이후 10년 만에 출간되는 선생의 ‘강의록’이다. 이 책은 동양고전 말고도 나무야 나무야 ,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등 선생의 다른 책에 실린 글들을 교재 삼아 평소에 이야기하신 존재론에서 관계론으로 나아가는 탈근대 담론과 세계 인식, 인간 성찰을 다루고 있다.
저자는 2014년 겨울 학기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대학 강단에 서지 않는다. 이 책의 부제를 ‘마지막 강의’로 한 이유이다. 선생의 강의실은 늘 따뜻하고 밝은 에너지가 넘쳐난다. 다루는 내용이 한문 고전일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 문맥을 현재로 끌어내어 우리의 입장에서 읽기 때문이다. ‘공감’의 힘이다.
우리의 교실이 세계와 인간에 대한 각성이면서 존재로부터 관계로 나아가는 여행이기를 바랍니다. 비근대의 조직과 탈근대의 모색이기를 기대합니다. 변화와 창조의 공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공감과 소통의 장(場) 신영복 선생의 강의실을 고스란히 책으로 옮겨놓았다. 팍팍한 삶 속에서 한 줄기 위로와 격려의 공간이 되리라 기대한다.
담론
책을 내면서
1부 고전에서 읽는 세계 인식
1 가장 먼 여행
2 사실과 진실
3 방랑하는 예술가
4 손때 묻은 그릇
5 똘레랑스에서 노마디즘으로
6 군자는 본래 궁한 법이라네
7 점은 선이 되지 못하고
8 잠들지 않는 강물
9 양복과 재봉틀
10 이웃을 내 몸같이
11 어제의 토끼를 기다리며
중간 정리?대비와 관계의 조직
2부 인간 이해와 자기 성찰
12 푸른 보리밭
13 사일이와 공일이
14 비극미
15 위악과 위선
16 관계와 인식
17 비와 우산
18 증오의 대상
19 글씨와 사람
20 우엘바와 바라나시
21 상품과 자본
22. 피라미드의 해체
23 떨리는 지남철
24 사람의 얼굴
25 희망의 언어 석과불식
카테고리 없음